지역(Local) 설정
이 화면에서는 CIMON-SCADA와 Client(또는 Server) 노드 간의 통신을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합니다. 만약 CIMON-SCADA가 Stand-Alone으로 설정되었을 경우 해당 화면은 비활성화됩니다.
항목 | 설명 |
기본 IP 어드레스 | CIMON-SCADA가 설치된 PC의 IP 어드레스를 설정합니다. |
예비 IP 어드레스 | CIMON-SCADA가 설치된 PC의 예비 IP 어드레스를 설정합니다. 해당 항목은 ‘통신 선로 이중화’가 선택된 상태에서만 활성화 되며, CIMON-SCADA가 설치된 PC에 2개 이상의 Ethernet 카드가 장착되었을 경우에 사용합니다. 통신 선로 이중화 옵션 선택 시, 예비 IP 어드레스를 반드시 지정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CIMON-SCADA가 설치된 PC의 네트워크 어댑터 목록을 열어 사용하고자 하는 IP를 편리하게 검색하여 등록할 수 있습니다. 해당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위 화면 좌측의 트리 화면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어댑터를 선택하여 하단의 [확인] 버튼을 누르십시오. ‘유동 IP’ 설정이 해제된 상태라면 IP 어드레스가 등록되며, ‘유동 IP’ 설정이 체크된 상태라면 MAC 어드레스가 등록됩니다. |
유동 IP 사용 | DNS를 이용해 도메인 이름을 사용할 때 선택합니다. 해당 항목을 체크한 뒤 버튼을 눌러 네트워크 어댑터를 선택하면 ‘기본 IP 어드레스’ 또는 ‘예비 IP 어드레스’ 에 MAC 어드레스가 등록됩니다. |
클라이언트와 연결할 포트 번호 연결할 서버 측의 포트 번호 | CIMON-SCADA가 Primary/Secondary Server 일 경우 ‘클라이언트와 연결할 포트 번호’가 나타나며, Client 일 경우 ‘연결할 서버 측의 포트 번호’가 나타납니다. Server와 Client 사이의 TCP/IP 통신에 사용될 소켓 포트번호를 0에서 99사이의 범위 내에서 지정합니다. 보통의 경우 기본 설정 값을 변경할 필요는 없으나, 통신 오류 발생 시에는 해당 값을 변경하시기 바랍니다. 포트 번호는 Server 측과 Client 측 둘 다 동일하게 설정되어야 합니다. ※ 포트 번호와 관련한 상세 사항은 (1) 통신포트 표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타임아웃 | 설정한 시간 동안 통신이 연결되지 않으면 통신이 끊긴 상태로 판단하는 기능입니다. 설정한 시간을 초과하면 Client가 Server에 이상이 있다는 것으로 판단합니다. 만약 Server가 이중화된 상태라면 Standby Server에 접속을 시도합니다. 1초에서 59초까지 초 단위로만 지정 가능하며, 초기 값은 2초 입니다. |
(1) 통신 포트
[이 노드의 특성] 탭에서 선택한 노드의 Server 동작 종류에 따라 다른 포트 번호를 사용합니다.
선택한 노드가 FEP Server로 동작할 경우, [지역(Local) 설정] 탭에서 설정하는 포트 번호는 0부터 99까지이나 실제로는 UDP 1609번부터 1708번까지 사용합니다.
선택한 노드가 Control/View Server로 동작할 경우, [지역(Local) 설정] 탭에서 설정하는 포트 번호는 0부터 99까지이나 실제로는 UDP 15000번부터 15099번까지 사용합니다.
Web Server의 경우에는 Http 통신 포트는 TCP 80번을 기본으로 사용하며, CIMON-SCADA와 통신 시에는 UDP 7000번을 기본으로 사용합니다. 해당 포트 번호는 변경이 가능합니다.
[지역(Local) 설정] 탭 “포트 번호” | FEP Server 포트 번호 | Control/View Server |
0 | 1609 | 15000 |
1 | 1610 | 15001 |
2 | 1611 | 15002 |
… | … | … |
99 | 1708 | 1509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