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P 설정
이 화면에서는 CIMON-SCADA가 FEP로 사용되는 경우, 상위와 연결하기 위한 네트워크의 종류를 지정하고, 지정된 네트워크에 필요한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FEP 설정] 탭은 [이 노드의 특성] 탭에서 ‘FEP(CIMON-Net 서버)로 동작’ 체크박스가 선택되지 않을 경우 전체가 비활성화 되어있으니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ENET (TCP/IP)
FEP Ethernet 통신을 설정합니다. 체크박스 선택 후 우측의 [통신포트 설정] 버튼이 활성화됩니다. 해당 버튼을 눌러 네트워크에 필요한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합니다.
이 때 통신 파라미터는 FEP Client 측과 동일하게 설정되어야 합니다.
항목 | 설정 |
포트 | Server와 Client 사이의 TCP/IP 통신에 사용될 소켓 포트번호를 입력합니다. 0에서 99사이의 범위 내에서 지정할 수 있습니다. 포트가 0일 시, UDP 1609번을 사용합니다. 즉, 포트 번호는 UDP 1609+”포트” 입니다. Client 측과 동일한 포트를 지정하여야 합니다. |
통신선로 이중화 | FEP Server 측에서 IP가 2개 이상이고, 백업용 IP를 사용할 때 체크합니다. 이 기능을 사용할 경우, 반드시 FEP Server 측의 예비 IP를 입력하여야 합니다. 또한, FEP Client 측의 Cimon-Enet 드라이버 ‘지역(Local)설정’에서 회선 이중화가 체크된 경우, 해당 옵션이 반드시 체크되어야 합니다. |
기본 IP 어드레스 | FEP Server 측의 IP 어드레스를 설정합니다. |
예비 IP 어드레스 | FEP Server 측의 예비 IP 어드레스를 설정합니다. 해당 항목은 ‘통신 선로 이중화’가 선택된 상태에서만 활성화 되며, FEP Server 측에서 2개 이상의 IP 어드레스를 사용할 때 입력합니다. 통신 선로 이중화 옵션 선택 시, 예비 IP 어드레스를 반드시 지정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등록된 노드만 통신함 | ‘노드 설정’ 영역에 등록된 노드에 한하여 FEP 통신을 하도록 설정합니다. |
유동 IP (도메인 이름) 사용 | 도메인 이름(DNS)를 사용하여 접속을 할 경우 해당 항목을 체크합니다. |
패킷 암호화 사용 | FEP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암호화할 때 체크합니다. |
키, 키 확인 | 패킷 암호화 시 사용할 암호를 입력합니다. 지정 가능한 암호 길이는 8~16자입니다.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입력하십시오. 영문, 숫자,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
(2) CNET (RS232C)
FEP Serial 통신을 설정합니다. 체크박스 선택 후 우측의 [통신포트 설정] 버튼이 활성화됩니다. 해당 버튼을 눌러 네트워크에 필요한 통신 파라미터를 설정하십시오.
| CNET은 근거리 통신용 프로토콜입니다. 근거리 10m까지 권장하며 10m를 초과하는 거리의 통신에 대해서는 보장하지 않습니다. |
CNET(RS232C) 통신 포트 설정 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
항목 | 설명 | |
통신포트 | Client와 통신할 Serial 포트를 지정합니다. COM1에서 COM32까지 지정 가능합니다. 초기 값으로 COM2가 지정되어 있습니다. | |
전송속도 | Serial 통신 시의 통신 속도를 지정합니다. 지정 가능한 값은 300, 600, 1200, 9600, 19200, 38400 입니다. Client 측에 설정된 전송 속도와 일치해야 합니다. | |
Parity | Parity란 데이터 전달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했는지 검사하기 위해 데이터에 추가한 비트를 의미합니다. Even, Odd 두 종류가 있으며 Parity를 사용하지 않는 옵션도 선택 할 수 있습니다. | |
None | Parity 비트를 선택하지 않습니다. 즉, 통신 시 Parity 비트를 통하여 오류를 검출하지 않습니다. | |
Even | 실제 전송하는 데이터 내에 값이 1인 BIT가 짝수가 되도록 Parity 비트를 추가하는 옵션입니다. 예를 들어, 전송하고자 하는 8-BIT 데이터가 ‘0110 1000’일 경우, 값이 1인 BIT가 홀수이므로 해당 데이터에 추가되는 Parity 비트의 값은 1이 되는 형식입니다. 만약 값이 1인 BIT가 짝수 개일 경우, Parity 비트의 값은 0이 됩니다. | |
Odd | 실제 전송하는 데이터 내에 값이 1인 BIT가 홀수가 되도록 Parity 비트를 추가하는 옵션입니다. 예를 들어, 전송하고자 하는 7-BIT 데이터가 ‘0110 100’일 경우, 값이 1인 BIT가 홀수이므로 해당 데이터에 추가되는 Parity 비트의 값은 0이 되는 형식입니다. 만약 값이 1인 BIT가 짝수 개일 경우, Parity 비트의 값은 1이 됩니다. | |
Data Bits | 7 Bits | 8 Bits로 설정했을 때보다 통신 속도가 약간 향상되나 한글 데이터의 송수신에 이상이 발생합니다. |
8 Bits | 7 Bits로 설정했을 때보다 통신 속도가 약간 느리나 한글 데이터의 송수신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태그 이름이 한글이거나 데이터 중 한글이 있는 경우 해당 옵션을 선택하여 주십시오. | |
Stop Bit(s) | Stop Bit란 Serial 통신 시 전송되는 1BYTE 데이터의 단위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BIT 데이터입니다. 실제 전송 데이터에 추가하여 사용됩니다. 1 Stop Bit 또는 2 Stop Bits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
1 Stop Bit | 1BYTE 데이터 전송의 끝을 알리는 데 1BIT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 |
2 Stop Bits | 1BYTE 데이터 전송의 끝을 알리는 데 2BIT 데이터를 사용합니다. | |
Check-Sum 사용 | 오류 검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전송되는 데이터에 오류 검출용 데이터를 추가하여 송신합니다. 단, 오류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우도 존재하니 이 점 숙지 후 사용하여 주십시오. | |
CTS/RTS 제어 사용 |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입니다. RTS는 현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입니다. CTS는 현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상태임을 알리는 신호입니다. CNET 통신 선택 시 해당 기능이 기본으로 선택되어 있습니다. 데이터 충돌 및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옵션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