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 방법 - FBD
변수는 펑션 블록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처리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영역을 말합니다. 펑션 블록내에 디바이스 어드레스(글로벌 변수)를 사용할 수 있지만
입력 데이터를 변경하며 여러 상황에서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펑션 블록을 사용하는 목적) 변수(로컬 변수) 사용을 권장합니다. 변수는 디바이스 어드레스와 달리 펑션 블록을 사용하는 시간 동안만 유효하며 사용이 끝나면 모든 정보가 지워집니다. 따라서 유용한 처리 결과값은 출력 변수를 사용하여 디바이스 어드레스에 옮겨 계속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하단의 “입력 추가” / “출력 추가” / “입출력 추가” 버튼을 눌러 변수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Default Data Type : Bit – Type 버튼으로 기본 Type을 변경 할 수 있습니다.)
*추가된 변수는 저장과 함께 자동 정렬됩니다. “확인” 버튼을 눌러 화면을 닫은 후 다시 변수 설정 화면을 열었을 때 정렬된 결과로 나타납니다.
정렬 순서는 1. 입출력 변수 -> 2. 입력 변수 -> 3. 출력 변수 입니다. 펑션 블록 미리 보기 화면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입출력 변수는 펑션 블록 가독성을 위해 항상 최상위에 가장 먼저 표시됩니다.
각 항목의 상세는 아래와 같습니다.
변수명 : 변수 이름은 한글 기준 8자까지 입력 가능합니다. 펑션 블록과 동일한 명칭이나 디바이스 어드레스(프로젝트의 CPU Type에 따른 디바이스 사용 가능 영역에 근거)등은 사용 할 수 없습니다.
입출력 : 변수의 입/출력 속성을 설정합니다.
입력 : 정수 또는 디바이스를 지정하여 값을 전달 받습니다.
출력 : 처리 결과 값을 지정된 디바이스 전달합니다.(정수 사용 불가)
입출력 : 입력과 출력을 하나의 디바이스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정수 사용 불가)
출력과 입출력 타입에서 사용할 수 없는 디바이스
“X” / “F” / “T” / “TC” / “TS” / “C” / “CC” / “CS”
타입 : Bit / Word / Double Word / Float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B” : Bit
입력 범위 <0 또는 1>
“W” : Word – 2Byte
입력 범위 <부호없음 : 0~65,535 / 부호있음 : -32,768~32,767>
“DW” : Double Word – 4Byte
입력 범위 <부호없음 : 0~4,294,967,295 / 부호있음 : -2,147,483,648~2,147,483,647>
“F” : Float – 4Byte
입력 범위 <3.4E +/- 38 : 7Digits>
디바이스 : 스캔 프로그램에서 펑션 블록을 사용할 경우 설정 할 수 있으며 펑션 블록 변수 설정중에는 편집할 수 없습니다.
설명 : 변수 설명은 한글 기준 8자까지 입력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