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2 용어 정리

17.2 용어 정리

  • 서술문

서술문은 명령식을 정의하는 데 사용됩니다. 서술문의 종류로 대입문, 명령문, 주석문이 있습니다. 각각 다음 표와 같은 형태로 사용됩니다.

종류

형태

대입문

변수 = 수식

명령문

서브루틴[1]

주석문

; 이후의 모든 문장

  • 수식

SCADA PRO에서 제공하는 수식의 종류 또는 형태에는 상수, 변수, 함수 등이 있습니다. <수식><연산자><수식> 의 형태로 사용되며, <연산자> 에는 =를 제외한 연산자가 포함됩니다.

종류

설명

상수

정수, 실수, 문자열, 내부 상수를 포함합니다.

정수

[부호][진수표현]숫자열

부호

+, - (생략 시에는 +를 의미합니다.)

숫자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진수표현

2#(2진수), 8#(8진수), 16#(16진수) 형태로 입력합니다.

(생략 시에는 10진수를 의미합니다.)

실수

실수부[지수부]

실수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입력합니다.

[부호][숫자열].숫자열

[부호]숫자열.[숫자열]

[부호]숫자열

지수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입력합니다.

E[부호]숫자열

e[부호]숫자열

문자열

다음과 같은 형태로 입력합니다.

“ASCII 코드열”

내부 상수

SCADA PRO 내부에서 미리 정의된 상수를 의미합니다. 두 종류가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CONSTANT_P1:  (3.1415...)

CONSTANT_EXP: e (2.7183…)

변수

태그

데이터베이스에 정의한 태그의 이름입니다.

태그 변수

데이터베이스에서 정의한 태그 관련 변수/상수입니다.

※ 자세한 내용은 1.3절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내부 변수

SCADA PRO 내부에서 정의된 변수입니다.

함수

함수

수학적인 연산을 목적으로 하는 함수입니다.

서브루틴

SCADA PRO의 내부 명령 함수입니다.

연산자

SCADA PRO에서 제공하는 연산자의 목록은 다음과 같습니다.

=, ~, !, +, -, *, /, %, |, ^, &&, <<, >>, ||, <, >, <=, >=, ==, !=

※ 각 연산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1.4절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부호와 진수 표현은 반드시 숫자 열과 붙여 사용하여야 합니다.

  • 부호는 10진수인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10진수의 표현으로 10#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 숫자 열은 1-9까지의 10진수 표현이어야 합니다.